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2)
css 뷰포트 이어서 미디어쿼리 출력되는 미디어에 맞춰서 보이게 하기 위해서 768 단 컨테이너에 대한 공간은 무조건 확보하고 옆에 이어붙인다 flex-wrap : nowrap -> 플렉스 항목을 한줄에 표시 -> 화면이 줄어들면 갯수는 그대로인데 걍 크기가 줄어들기만함 -> 줄어들면 요소의 크기가 줄어든다. flex-wrap : wrap -> 화면이 줄어들면 요소들이 아래로 내려감->요소의 사이즈가 변화가 없다 flex-wrap : wrap-reverse -> 화면이 줄아들면 요소들이 위로 올라감-->요소의 사이즈가 변화 없다 담는그릇이 어떻게 되는지를 쓰는거다->전체 대상 가로정렬 justify-content: flex-start -> 왼쪽 정렬 flex-end -> 오른쪽 정렬 space-around -> 빈공간을 정확..
css 8-5부터 layout!!!!하려면 이거 잘 알아야한다 위치 지정 position 원하는 위치에 갖다 놓는다 x,y좌표 - absolute 절대 좌표 체계를 이용하자 -> 부모좌표기준이므로 body기준 부모가 relative여야한다 부모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x,y = left,top 브라우저의 좌측상단이 0,0이다. static 문서의흐름에 맞춰 의미x 생략가능 relative 위치값을 지정할 수있는 static left,top을 지정하지 않으면 static과 동일 내앞에 있는 애를기준으로 한다. fixed 브라우저 창을 기준으로 위치를 지정해 배치한다 브라우저창에 완전히 고정 backgroud-clip border-box : 가장 외곽테두리까지 background-image 이미지를 크기에 맞춰 바둑판형태로 ..
css mvc model -> (data관리 /비즈니스 로직(값): html 왜 값일까? label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text로 문자열 값을 주기 때문이다. view -> 출력 (pc(해상도), 모바일(해상도)): css 로직은 같지만 출력하는 방식이 바뀔수 있다 controller -> model과 view를 제어 & 사용자 입력 : js view에 붙으면 controller도 view갯수만 큼 존재가능 model에 붙으면 controller도 하나이다 model : view = 1:n model : controller = 1:1 정적, 동적 정적 : 나주에 변경 불가능 동적 ; 외부에서 입력받아 사용해야한다 외부파일이있어야한다. css 작성 선택자 key1:value1; 선택자 tag, #id, .cla..
html 인바운드 이어서 localhost바꾸기 C:\Windows\System32\drivers\etc 관리자모드로 저장 글자변경 값을 못받아와서 못출력하느 에러가 발생할 수잇는데 name 값 잘 확인해줘야함 라디오 버튼에서 하나의 버튼만 선택할 수있도록하려면 라디오의 name값을 똑같이 지정해야한다. form
HTML Apache tomcat 설치하기! Preferences에 server에 runtime Environments에 들어가서 add를 눌러 서버를 추가한다 아파치 톰캣 9.0이라는 표준으로 설치한다 Browse해서 내가 원하는 폴더에 apache를 설치하도록 설정한다. 기다리기 설치파일이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finish를 누를 수 있고 설치 끝나면 finish하고 apply close 해서 닫으면 tomcat설치 완료!! 프로젝트 생성
입출력스트림 입출력스트림은 forEach로 안도는게 좋다 왜냐면 읽어온 크기만큼 돌아야하는데 내가 읽지 않은 부분까지 순회하게 되기 때문이다. try { InputStream is = new FileInputStream("C:/Temp/test2.db"); byte[] data = new byte[100]; while(true) { int num = is.read(data);//읽어온 수 리턴~ if(num == -1) break; for(int i=0; i= 0) { out.write(buffer, 0, read); transferred += read; } return transferred; } 문자 변환 스트림 문자 셋의 종류를 지정할 수있다. public static String read() throws Exc..
스트림 람다식은 데이터가 많을 때는 느리다. 하지만 데이터가 적을 때는 직관적이고 좋다. 스트림은 병렬처리를 해서 속도를 극대화하는 용도이다. 컬렉션의 정보를 전달해서 컬렉션을 반복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Stream stream = list.stream(); stream.forEach(item -> {...}); stream과 iterator의 차이 1.내부반복자 이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고 병렬처리에 효율적이다. -> 콜백함수인 인터페이스 참조변수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지 않다 하지만 병렬처리를 했을때는 빠르다. 2.람다식으로 다양한 요소처리를 정의 할 수 잇다. 3.중간처리와 최종처리를 수행하도록 파이프라인을 형성할 수 잇다. --> 스트림은 멀티스레드 병렬 처리시 fork와 join을 자동으..
컬렉션 자료구조 Set 저장순서가 유지되지 않는 컬렉션, 저장 순서가 유지 되지 않는다.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다. 같으면 저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 데이터가 남아있다. Object를 통해서 매개변수를 받는 거는 equals와 hashCode를 재정의해야한다. HashSet hashCode()값과 equals 값이 둘다 true면 동일객체로 판단하고 중복저장하지 않는다 Set set = new HashSet(); Iterator 반복자를 얻어와서 객체를 하나씩 순회하는 것이다 키가 많아지면 for-each보다 성능이 좋아진다. Set set = new HashSet(); Iterator iterator = set.iterator(); --> iterator로 순회하면서 제거할 것을 찾아 삭제하는 건 멍청한 짓. 걍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