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2)
[ 실무 ] 데이터베이스 쿼리 작성법 ORM 기법을 사용하는 JPA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프레임 워크를 이용한다. 이 의미는 쿼리를 작성하면 DAO,SERVICE, XML파일을 자동으로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그러면 이제 쿼리만 잘 작성하면 백엔드에 관한 내용은 완성이 된다. 자동 완성된 함수들에서 이제 SERVICE에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는 부분만 잘 하면 개발이 끝난다 프론트엔드에서는 백엔드로 데이터를 넘겨주는 자바 스크립트에 관한 부분을 완성하면 된다. 더존에서 제공하는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통해서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를 넘겨주는 걸 완성하면 된다. 자, 그래서 더존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개발하기 위해서는 쿼리를 기본적으로 잘 작성해야한다. 쿼리를 잘 작성하기 위해서는 1. 테이블을 놓고 전부 분석한다.( 업무프로세스 상으로 기준이 되는 테..
ORM & JPA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데이터베이스의 모델과 객체의 모델이 서로 달라서 이 둘을 서로 맞춰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즉, 객체의 유무와 자료형이 서로 다른 DB와 객체를 연결해서 쓰기 위한 개념이다. 사진 : 둘이 자료형과 같은 부분이 달라지는데 이런 부분을 정의한다. 객체 다른 부분도 소스코드 넣어 서 설명하자 테이블쿼리랑 기존의 방식 테이블을 먼저 만들고 테이블을 기준으로 DTO(데이터그릇)를 만든 후에 이를 갖고 DB에 맞는 SQL문을 작성하여 개발하였다. 사진 : DB -> DTO -> DB에 종속된 SQL문 작성예시쓰기 장점 개발자가 쿼리를 작성하게 되어 세부적인 것을 변경하기 편하다 ( 튜닝 ) 단점 1. DB종속적이라 DB가 변하면 SQL문도 맞춰서 다 변경..
[스프링부트]html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스프링 부트] 소셜 로그인, 스프링 시큐리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session 공유, 스프링 부트 올리기, httpd->nginx로 바꾸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로드밸런싱, IP 주소만으로 접속할 수있도록 설정, 포트 번호 없애기, 네이버클라우드의 내용을 도메인 이름과 연동]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사용자 계정 생성 및 기본 명령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