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들의 ip주소를 기억하여 SSH프로토콜을 통하여 노드간의 내부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연결할 노드들의 ip 주소를 기억시키는 설정
vi /etc/hosts
#vi /etc/hosts 파일에 들어가야할 설정
192.168.68.129 [노드이름]
192.168.68.130 [노드이름]
192.168.68.131 [노드이름]
192.168.68.132 [노드이름]
#연결 설정 확인
ssh [노드이름]
#비밀번호 치고 들어 가지면 성공1
# ssh연결을 위한 키값 생성, RSA알고리즘으로 키값 생성(연결해주어야할 노드들에 들어가 노드 마다 한다.)
ssh-keygen -t rsa
#ssh키 값이 들어있는 폴더로 접속
cd ~/.ssh
ls
#ssh로 생성한 키값이 들어있는 파일은 id_rsa.pub이다. 이를 authorized_keys파일을 생성하여 넣어준다.
cat id_rsa.pub>>authorized_keys
#현재 노드의 ssh키값은 넣어 주었고 이제 다른 노드의 rsa키값을 넣어줄 차례이다.(연결 시켜줄 노드 개수 만큼 반복)
ssh root@[다른 노드이름] cat ~/.ssh/id_rsa.pub >> ~/.ssh/authorized_keys
# 노드를 옮겨서 작동시킬 필요 없이 현재 노드에서 authorized_keys파일에 넣어주면 rsa로 만들어진 암호가 나오고 끝에
# root@[노드이름]하고 어느 노드의 접속 암호인지 나온다.
#이제 이 접속 암호를 모든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scp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노드에 전달한다.(연결 시켜줄 노드만큼 # 반복)
scp -rp authorized_keys root@[다른 노드이름]:~/.ssh/authorized_keys
#노드이름 다음에 콜론 주의!!!!
# 노드들이 ssh로 암호화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
ssh [다른 노드이름] date
#다른 노드의 시간데이터가 나온다.
'Hado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둡 wordcount (0) | 2022.11.23 |
---|---|
hive 설치 및 구동 (0) | 2022.11.22 |
리눅스 설치 (0) | 2022.11.22 |
하둡 설치 (0) | 2022.11.21 |
리눅스에서 자바 설치하기 (0) | 2022.11.21 |